1. 조율의 정의 |
|
|
|
|
|
피아노 조율은 현의 장력을 가감하여 음 높이를 서양음계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작업을 말한다 |
|
|
그것은 현 진동의 물리적 현상을 음악적 상황에 부합시키는 행위로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며 |
|
|
서양음악의 발달을 직접 유도한 원동력이었다. |
|
|
따라서 조율의 기본 이론은 음악적 현의 진동에서 유발되는 자연 배음렬이 그 기초를 이룬다. |
|
|
|
|
* |
배음 : 바탕음의 진동수에 대해 정수배의 진동수를 갖는 윗 음을 말한다. |
|
|
배음의 호칭은 바탕음진동수의 배수에 의하여 구분되며 바탕음을 제 1배음으로 하고 |
|
|
윗 음을 제2배음 ….제 n배음이라 불린다. |
|
|
배음은 바탕음의 음색을 풍부하게 형성하고 |
|
|
음 높이를 명확하게 느끼게 하는 기능을 갖고 2개 이상의 음의 협화에도 관계한다. |
|
|
|
|
|
|
| |
|
|
|
|
|
4 |
2. 평균율(Equal Temperament) |
|
|
|
|
|
중간음률에는 순정음률에 없는 장점이 있으나 역시 조바꿈의 난점이 있으며 |
|
|
반음계 사용에도 불편한 점이 있었다. 때문에 음악이 진보함에 따라 |
|
|
중간 음률은 작곡가의 창작욕에 커다란 제약이 되었다. |
|
|
이리하여 8도를 12개의;반음으로 평균 등분하는 12평균율이 등장하게 되었다. |
|
|
역사를 살펴보면, 8도의 12등분은 유럽보다도 동양에서 일찍 시도 되었으나 |
|
|
유럽에서는 이론적으로 16세기에 들어와 화제가 되기 시작했다. 그리고 실제로는 현악기에 우선 사용 되었다. |
|
|
(류트, 비올) 그라마 테우스(H.Grammateus)가 1518년 온음계 음렬을 피타고라스의 음률로 하고 |
|
|
반음은 기하학적 중간비를 구해서 온음을 2개의 똑 같은 반음으로 나누는 방법을 발표하고 있다. |
|
|
1533년에는 랜프란코(G.M.Lanfranco) 가 5도를 약간 좁게하고 3도는 견딜수 있을 정도로 넓게 해 둔다는
|
|
|
평균율적인 수법을 논술하고 있다. |
|
|
1577년 살리나스(F. Salinas)가 기하학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발표, |
|
|
짜르리노(G. Zarlino)도 88년에 마찬가지 수법의 12분할법을 발표하고 있다. |
|
|
이들 플랫악기인 현악기에서는 구조상 일찍부터 평균율이 적용되고 있었지 않았나 생각된다. |
|
|
12?2의 계산을 사용한 최초의 사람은 스테빈(S. Stevin, 1596)이다. |
|
|
메르센느(M. Mersenne)는 1636년에 평균율에 관해서도 발표하고 있는데 상당히 정확한 비율을
나타내었고 |
|
|
실제 악기에 적용할 경우의 울리는 소리에 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. |
|
|
|
| |
* |
음악에의 사용 |
|
|
|
|
|
이론적인 바탕은 일찍부터 마련되어 있었으나 실제 창작에 적용되기는 18세기에 들어와 건반 악기에 나타난다. |
|
|
바하는 1722년에 “평균율 클라비어곡집” 제 1권을 작곡하여 구체적으로 평균율이 갖고 있는 장점을 |
|
|
음악으로 나타내어 역사상 그 위엄을 달성하지만 실제로 건반악기를 엄밀하게 평균율로 조율된 시대는 분명치 않다. |
|
|
대체로 18세기 후반에 평균율에 일반적인 사용이 시작 되었는데 |
|
|
영국에서는 19세기 후반에도 중간음률을 피아노나 오르간에 적용한 회사가 있었다. |
|
|
|
| |
* |
수학적 근거 |
|
|
|
|
|
12평균율은 8도를 12등분하기 위해 옥타브 음정비율 1: 2를 12 균할 등분한다 |
|
|
12?2 = 1.0594639가 되어 작은 온음이나 큰 온음의 구별이 없다. |
|
|
그리고 음정의 도수 계산은 완전히 수학적으로 처리된다. 이 평균율은 건반악기에 적용이 용이하며 |
|
|
어느 조에의 자유로운 조바꿈이 가능하다. |
|
|
따라서 음계구성은 어떤 수에 1.0594639를 곱해주면 반음 위의 음이 되며 나누어 주면 반음 아래의 음이
된다. |
|
|
|
| |
|
* |
음정치(Interval value) |
|
|
|
|
|
진동수에 의한 음정의 표현에는 어려움이 따른다. |
|
|
그것은 수학적인 진동수가 음의 위치에 따라 증 가감하기 때문에 같은 진동수라도 그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. |
|
|
이 어려움을 쉽게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 음정치이다. 음정치의 산출 기초는 음정비이지만 |
|
|
이 것은 그 대수를 구하여 그것을 사용하기 쉽도록 비례에 의하여 필요한 수적 질서에 슬라이드하여
표현하는 것이다. |
|
|
그 방법은 현재 대수치, 밀리 옥타브치, 각도치, 센트치 등 4종류가 있으나 |
|
|
영국의 엘리스가 고안한 센트치가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널리 쓰인다. |
|
|
한 옥타브를 1200센트로 하고 반음은100센트 온음은 200센트등으로 아주 편리하다. |
|
|
|
| |
* |
조율의 실제 |
|
|
|
|
|
평균율은 이상의 수학적 근거를 실제 건반 악기에 적용하여 음악적 표출의 완성을 지지양하는 것으로 |
|
|
장 3, 6 도나 완전 4, 5 도에 의하여 12평균 한 다음 위, 아래 음으로 옥타브를 전개하는 방법을
말한다. |
|
|
이과정에서 제일 문제되는 것이 인간의 가청한계이다. |
|
|
가청한계에 의하면 아주 낮은 음(초 저주파)은 진동음을 하나의 소리로 듣지 못하고 |
|
|
아주 높은 음(초음파)은 감각의 한계를 벗어나 감지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. |
|
|
역시 같은 현상이 두 음간의 배음 차이에서 들리는 맥놀이(BEAT)현상에 적용된다. |
|
|
따라서 가창한계가 16Hz ? 20,000Hz 이듯이 맥놀이도 16도를 넘으면 강한 불협화의 요소로 작용한다.
|
|
|
조율도 장 3, 6도 완전 4, 5가 이 가청 한계 안에 주어질 수 있는 음역이 12평균을 적용하기 쉬운 곳이다.
|
|
|
|
| |
|
1) 같은 음 조율 (동음 Unison) |
|
|
|
|
|
피아노의 줄은 저음은 한줄이나 두줄이 한 음을 내게 되어있고 중음 이상은 세줄이 한음을 내게 되어있다. |
|
|
이때 같은 음을 내는 줄을 동음 또는 유니즌 이라고 한다. |
|
|
음악에서는 몇 개의 악기 (성부) 혹은 오케스트라가 같은 음이나 같은 선율을 연주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. |
|
|
음정의 비율은 1 : 1로 표시하고 맥놀이가 진행할 때를 말한다. |
|
|
|
| |
|
2) 옥타브 조율 |
|
|
|
|
|
완전8도 음정으로 두 음 사이의 진동수가 1 : 2로 표시된다. |
|
|
그 어울림이 아주 좋아 같은음인 듯한 인상을 준다. 그리고 이 두 음은 같은 음이름을 갖는다. |
|
|
8도 음정은 두 음중 어느 음도 가감을 하지 않은 상태로 정확히 조율하기 때문에 완전히 맞아 있으면 맥놀이가
없다. |
|
|
|
| |
|
3) 완전 5, 4 도 조율 |
|
|
|
|
|
완전5도는 2 : 3완전4도는 3 : 4로 표시되며 |
|
|
그것은 완전5도는 아랫음을 3 윗음을 2배음으로 완전4도는 아랫음은 4, 윗음은 3배음에서 그 협화가
이루어지고 |
|
|
순정 관계에서 맥놀이가 없이 되기 때문에 완전 협화음으로 불린다. |
|
|
그러나 평균율은 이 상호 배음보다 수학적인 근거에 우선하기 때문에 |
|
|
평균율과 순정율의 차이인 플러스 마이너스 2센트가 주어진다. |
|
|
따라서 완전5도는 2센트만큼 간격을 좁혀주고 완전4도는 2센트만큼 간격을 넓혀 각각 평균율 간격이 되도록 한다.
|
|
|
|
| |
|
4) 장3, 6도 조율 |
|
|
|
|
|
장3도는 4 : 5 장6도는 3 : 5 의 음정비율로 나타내며 |
|
|
장3도는 애랫음이 5, 윗음이 4배음, 장6도는 아래음이 5, 윗음이 3배음에서 그 협화가 이루어진다. |
|
|
이 음정은 완전한 협화보다는 어울리는 음정이므로 장3, 6도로 불린다. |
|
|
그것은 상호 음들이 수학적인 협화는 이루어지지만 물리적인 현상은 바탕음(기본음)의 성격이
확실해 |
|
|
어울림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완전음정과 분리하여 불린다. |
|
|
이 음정도 평균율에서는 맥놀이를 수반하며 장3도는 14센트 넓혀주고 장6도는 16센트 좁혀준다. |
|
|
이 음정도 위치에 따라 그 간격의 맥놀이가 변하기 때문에 |
|
|
인간의 가청한계에 잘 어울리는 음역에서 행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. |
|
|
특히 장3, 6도조율 방법은 많은 맥놀이를 수반하기 때문에 정확도에 있어서 그 신뢰도가 높으나 |
|
|
맥놀이를 정확히 셀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과 숙달이 필요하다. | |